본문 바로가기
01 Studio-won Seminar

Design Mentoring Subject 1.5

by CLIMATE EQUITY DATA&DESIGN 2023. 3. 7.

Design Mentoring Subject 1.5

 

교육시설의 평균실종

Redistribution of the Average

 

A.

교육공간의 단일화, N극화, 양극화

 

 

강의식 교실 위주의 표준설계도에 의한 배치 

 1960~1980년대 우리나라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이와 함께 학생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당시 교육적 패러다임은 고도의 경제성장에 필요한 많은 지식을 넣어주는 단순 강의식 교육이 대세였다. 따라서 급당 60~80명 수준의 학생수를 분산하기 위해 최대한 빨리 교실을 증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바로 표준설계도를 통한 학교설립을 하였다. 

 표준설계도의 특징은 설계자가 교실 배치를 하고 표준설계도를 활용하며 각 공무원들이 공사수량을 직접 계산 및 발주하여 신속한 학교를 설립할 수 있는 방식이었다. 반면 일자형 배치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교실 외에는 모두 운동장으로 구성하고 매년 학생 수 증감에 따라 필요한 교실 수만큼 증축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표준화되어 있는 교실크기>

  학교들은 현상설계를 통해 많은 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변화를 저해하는 요소는 제한된 공사비와 개교일정에 맞춘 짦은 공사기간으로 인해 학교건축을 담당하는 교육청 관계자들의 보수적인 성향이 가장 큰 요인으로 생각된다

<학교설계계획안과 채택안의 차이>

 이런 조건들로 인해 획일화된 학교들 중에서도 물론 양극화를 보이는 학교 사례들도 존재한다. 양극화된 학교의 사례는 사립학교와 공립학교로 차이라고 볼 수 있는데, 국제고등학교나 기업사립학교의 경우 공사비에 제한 없어 진보적인 원안을 거의 그대로 구현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학교공간의 차이가 낳는 교육의 경험과 질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교육, 인적 자본의 양극화가 이루어지는 시작인 것이다. 

하지만 최근 전세계 인구 수의 감소와 기술의 발전으로 인적자본의 교육에 대한 다양성과 방향성이 변화하는 추세에서, 보수적인 교육관이 깨지기 시작했다. 

 

 

다양성을 담아 내는 학교의 역할 변화

 도시의 재건과 인구 밀집, 도시화 과정에서 지어진 수 많은 학교 건물들의 재생과 재건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더불어 학생 수의 급감으로 인한 학교의 빈교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이용 할 것인가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앞서 말한 것 처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개발해야 하는 시대에서 공간의 변화는 어떤 방향으로 가야할지가 큰 이슈이다. 요즘 나오는 교육모델을 살펴보자면, 크게 다섯 가지의 이유와 배경이 있다.

1 유연한 복합, 분할 공간 
지식전달시 주지주의 교육에서 구성주의에 기반한 융합교육, 제작교육으로 교육모델의 변화 압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걸맞는 교육환경과 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다용도 교육실, 여유교실, 집중장소, 활동유형별 다목적 교실, 제작 스튜디오형 교실, 대형학습 블럭과 같은 공간이 필요하다.

2 다양한 놀이와 신체활동
아동의 신체 활동과 놀이활동 증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학교 건물과 운동장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변화가 필요하다.

3 학습환경과 안전, 에너지효율개선 
안전, 내진, 에너지효율 외에도 채광, 환기, 온도, 소음 등 학습환경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학교 공간, 특히 교실 디자인의 변화는 학습효율에 큰 영향을 끼친다.

4 지역중심 복합화
지역사회와 학교의 소통과 협력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지역사회의 공간 요구를 수용할 필요 증대

5 청소년기의 생활공간화
착교는 아동과 청소년들의 학습공간이자 하루의 대다수 시간을 보내는 삶의 공간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학습 외에도 소통, 친교, 휴식, 놀이, 문화 사회 활동 등 아동, 청소년기의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조성

<교실의 행태변화>

이러한 이유와 배경, 그리고 이에 따른 교실의 행태 변화가 다양한 교육관을 수용하게 끔 변화하였고, 복합적인 학교 유형이 생기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학교 배치의 유형을 보면, 집처럼 친밀하고 위압적이지 않은 작고 낮은 모습으로, 기능 중심적인 공간이 정서적인 편안함을 주는 생활공간이라는 점에 중점을 두고 계획하거나, 교실을 모두 공중에 띄워 펼쳐 교육 공간을 수직상하체계가 아닌 수평체계로 만들어 학년, 나이 구별 없는 공간으로 계획 한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운동장의 상당한 부분을 텃밭으로 바꾸고,야외 학습장, 자연관찰 장소, 농사 교육장, 조경 디자인 현장으로 만들고, 실내외 주방을 만들어 요리 교육과 연계, 학교운동장 마을 놀이터, 학교운동장을 다용도 놀이공간이자 마을의 중심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교실의 경우 높은 공간, 낮은 공간 등 다양한 높이의 공간으로 아이들의 발달과 학습을 자극하고  문이 없는 교실을 통해 열린구조 계획하여 학생 간 친밀감 형성하는 추세이다. 개방수업을 통해 기존 교실 공간의 단점들을 보완하려는 움직임 또한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지금과 같은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3가지로 정리 했다.

 

1 실내공간의 형평성에 대한 인식 변화 _ 교실공간의 다양화
형평성을 위해 규격화된 교실의 크기, 모양, 환경의 조건이 모두 같을 것이 아닌 열린교실, 칠판없는 교실 등
학습공간이 정형화된 교사중심의 네모교실에서 벗어나 상상치 못한 형태의 교실도 경험할 수 있도록

2 공용공간의 형태 변화_ 소통, 경험의 중요성
아이들의 이동동선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머무를 수 있는 장치적 요소가 필요하다
(아트리움이나 복도의 알코브 공간과 같이 평균이 아닌 학교마다 다양성을 가진 공간)

3 제도적 변화
공사비의 합리적인 책정, 개교일정을 감안한 합리적인 공사기간 적정성 확보

 

 학교 건축은 교육적 측면으로 보았을 때, 학생들의 다양성을 담기 위해 N극화로 나아가고 있다. 이를 더 가속화 하기 위해서, 실내공간의 형평성에 대한 인식변화와 공용공간의 형태 변화를 통한 소통, 경험의 중요성 그리고 인식과 제도적 변화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2023.02.27 - [Studio-won Seminar] - Design Mentoring Subject 1

 

Design Mentoring Subject 1

Design Mentoring Subject 1 평균실종 Redistribution of the Average 대한민국은 갈수록 사회 자본에 의한 전반적인 문제들이 여기저기서 발생하고 있다. 사회계층으로 인한 양극화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더

studio-won.tistory.com

 

728x90

'01 Studio-won Semin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sign Mentoring Subject 2.5  (1) 2023.03.15
Design Mentoring Subject 2  (0) 2023.03.07
Design Mentoring Subject 1  (0) 2023.02.27
Starting Seminar Subject 2  (0) 2023.02.19
Starting Seminar Subject 1  (0) 2023.02.19